반응형
장기 채권 외면과 시장 동향
- 주식 시장 하락: 다우, 나스닥, SP 500, 러셀 지수가 각각 1.3%, 1.96%, 1.39%, 1.49% 하락함.
- PPI 지수: PPI 지수가 낮게 나와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,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함.
- 관망 자세: 현재 시장 상황에서는 적극적인 매수보다는 관망의 자세가 필요함.

주식 시장 하락 분석
- 기술주 하락: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짐. 특히 엔비디아는 GTC 관련 기대감으로 하락폭이 적었음.
- 소프트웨어 및 통신주: 어도비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의 실적 부진으로 하락세가 심화됨.
- 경기 방어주: 유틸리티와 같은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남.
- 하락폭: 커뮤니케이션 서비스, 컨슈머 시크,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하락폭이 강함.

채권 입찰과 금리 동향
- 국채 입찰 금리: 30년물 국채 입찰 금리가 4.623%로 결정됨. 이전 금리는 4.748%였음.
- 입찰 경쟁률: 입찰 경쟁률이 2.37대 1로 낮아져, 시장의 수요가 약함을 나타냄.
- 트럼프의 정책: 트럼프의 정책 방향이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.
- 채권 시장의 자금 흐름: 채권 쪽으로 자금이 돌아가고 있다는 점.
통화량과 인플레이션 현황
- M2 통화량: M2 통화량이 2008년 이전과 비교하여 크게 증가함. 현재 6.8조 달러에 달함.
- 인플레이션 우려: 통화량 증가로 인해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.
- 양적 완화: 2020년 COVID-19 이전까지 양적 완화가 진행되었으며, 현재는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있음.
- 미국 채권 구매: 미국 채권을 구매할 수 있는 주체가 페드밖에 없다는 점.

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시장 영향
- 관세 위협: 트럼프가 유럽에 200%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함. 이는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.
- 시장 불확실성: 무역 전쟁으로 인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, 주식 시장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.
- 재무부 장관의 발언: 단기적 변동성보다는 경제와 시장의 장기적인 건강에 집중해야 한다.
- 주가 조정: 주가가 조정 기간에 들어섰으며, 트럼프의 정책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.
경제 성장 전망과 실업률
- 실질 GDP와 실업률: 필라델피아 패드의 자료에 따르면, 2025년까지 실질 GDP는 2%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.
- 실업률 안정: 실업률은 4.3%로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.
- 페이롤 변화: 페이롤이 조금씩 떨어지지만 큰 폭의 하락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함.
- 경제 성장 전망: 전반적으로 경제 성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유지되고 있음.

PPI와 물가 동향
- 생산자 물가 지수(PPI): PPI가 예측치보다 낮게 나와 물가가 잡히는 모양이 나타남.
- 상품과 서비스 물가: 상품 물가는 상승세를 보였으나, 서비스 물가는 하락세를 보임.
- 물가 상승 요인: 푸드와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, 서비스 부문은 마이너스 폭이 큼.
- 물가 동향 분석: 전반적으로 물가가 꺾이는 모양이 나타나고 있음.
소매업체와 소비자 상황
- 달러 제너 실적: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매업체의 실적이 발표됨. 매출은 비트를 했으나 EPS는 미스가 됨.
- 소비자 현금 부족: 소비자들이 현금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, 2025년에도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것.
- 인플레이션 영향: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고객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.
- 소매업 전망: 소매업체의 전망이 부정적이며, 경기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.

AI 관련 기업 실적과 전망
- 어도비 실적: 어도비의 매출과 EPS가 비트를 했으나, 2025년 가이던스가 부정적임.
- AI 매출 비중: AI 관련 매출이 전체 수입에서 2.2%밖에 차지하지 않음.
- 경영진의 불확실성: AI가 실질적인 수익의 원동력이 될 시점에 대한 명확한 타임라인이 제공되지 않음.
- 주가 폭락: 이러한 이유로 어도비의 주가가 폭락하고 있음.

주식 시장의 조정과 매수 전략
- 주가 조정: 현재 주가가 조정 기간에 있으며, 고점 대비 약 10% 하락함.
- 매수 관점: 조정 시기가 매수의 기회가 될 수 있으나, 적극적인 매수보다는 관망이 필요함.
- 트럼프의 정책 영향: 트럼프의 정책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, 4월 중순까지는 주가 반등이 힘들 것.
- 관망 자세: 현재는 관망의 자세가 필요하며, 시장의 변화를 지켜보아야 함.
반응형
'트리마제 미국 시황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트리마제 시황분석] 자금은 빅테크 제외 하고 큰손들이 들어오고 있다! (1) | 2025.03.18 |
---|---|
[트리마제 시황분석] 폭스콘이 시장을 살렸다!!, 주도주는 엔비디아(나스닥 반등, 반등의 서막, 2025년 AI 시장 전망) (1) | 2025.03.15 |
3월12일 트리마제의 미국 증시 시황분석(추세전환 vs 기술반등 상승 지속 가능한가?) (0) | 2025.03.13 |
트럼프는 주식 포기했나? 다 던져야 하나?(오라클 실적발표, 프로그램 매수발동) (0) | 2025.03.12 |
3월11일 트리마제의 미국 증시 시황분석(나스닥 반등, 테슬라 반등, 미국 고용률, 미국 경제지표) (1) | 2025.03.12 |